러시아어 통사론에서 우리는 문장이 단어 간의 결합 구조, 즉 통사적 관계를 중심으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특히, 종속 관계, 어결합의 유형, 어순과 정보 구조(테마/레마) 간의 상호작용 등은 형식적 조직뿐 아니라 문장의 의미 해석에도 영향을 줍니다.
이번 활동에서는 지금까지 익힌 통사론 개념들을 바탕으로, 실제 러시아어 문장을 직접 분석해보는 경험을 통해 이론이 실제 언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탐구해볼 것입니다.
러시아어에서 문장과 발화는 질서 있는 구조를 따릅니다. 단어들은 마치 줄지어 선 것처럼, 어떤 단어는 다른 단어에 종속되고, 그 단어는 또 다른 단어에 종속되는 식으로 계층적인 관계를 형성합니다. 그 핵심에는 종속 관계, 동위 관계, 병립 관계라는 세 가지 기본적인 통사 관계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 활동에서는 앞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실제 데이터에 적용해 보는 경험을 해봅시다. 구문 주석 코퍼스 도구인 TüNDRA를 활용하여 문장 속 통사 구조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시각화된 의존 트리와 통계 도구를 통해 언어 구조의 규칙성과 패턴을 탐색합니다.
TüNDRA를 활용한 구문 구조 검색 및 분석
앞서 우리는 어결합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세 가지 유형(일치, 지배, 부가)으로 나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또 문장 내 어순이 단순한 배열이 아니라 정보 구조, 즉 테마와 레마, 강조 효과 등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배웠습니다. 두 번째 활동에서는 실제 러시아어 뉴스 기사 텍스트를 읽고, 그 안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어결합 유형을 직접 찾아 분류해볼 것입니다. 나아가 각 문장에서 주어-동사-목적어의 어순을 분석하여, 중립적인 SVO 어순 외에 어떤 다른 구조가 활용되는지 또한 분석해 보겠습니다.
신문 기사에서의 어결합 및 어순 유형 분석